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입춘 날짜 및 행사, 입춘첩 문구, 입춘대길 붙이는 시간과 떼는시기

by 대왕부자 2025. 2. 3.
반응형

입춘과 입춘대길: 봄을 여는 전통과 풍습

입춘(立春)은 24절기의 첫 번째 절기로, 봄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날입니다. 양력으로는 대개 2월 4일 무렵에 해당하며, 2025년에는 2월 3일 월요일 오후 11시 10분에 입춘이 찾아옵니다.

 

입춘은 단순히 계절의 변화뿐만 아니라 새해와 새로운 시작을 상징하며, 전통적으로 다양한 풍습과 의례가 이어져 왔습니다. 특히 입춘첩(立春帖)에 적힌 '입춘대길(立春大吉)' 문구를 붙이는 풍습은 지금까지도 많은 가정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입춘의 의미와 전통, 입춘첩의 문구와 붙이는 시간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입춘 날짜, 입춘첩 붙이는 시간, 떼는 시기
입춘 날짜, 입춘첩 붙이는 시간, 떼는 시기

 


입춘의 의미와 전통

1. 입춘이란?

입춘은 태양의 황경이 315°에 도달하는 시점으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위치합니다. 한자 그대로 '봄이 시작된다'는 뜻을 가지며, 음력 정월 또는 섣달에 들기도 합니다. 이 시점부터 날씨가 점차 따뜻해지고 농사의 준비가 시작되므로, 농업 사회에서는 매우 중요한 절기로 여겨졌습니다.

 

고려시대에는 입춘을 맞아 관리들에게 춘번자(春幡子)를 나눠주고 하루 휴가를 주는 입춘하례(立春賀禮)라는 의식을 행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농사의 흉풍을 점치거나 마을 공동체가 함께 풍년을 기원하는 의례도 이어졌습니다.


2. 입춘 풍속

입춘첩 붙이기

입춘날 가장 대표적인 풍습은 입춘첩(立春帖)을 대문이나 문설주에 붙이는 것입니다. 이는 봄을 맞아 가족과 집안의 번영과 행복을 기원하는 글귀를 적어 붙이는 전통으로, '입춘대길(立春大吉)'이나 '건양다경(建陽多慶)' 같은 문구가 흔히 사용됩니다.

구분 전통 문구 현대 문구 특징
길상문구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행복 가득한 한 해" 대구 형식의 한자어
인용/창작 국태민안(國泰民安)
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
"사랑으로 가득한 우리 집" 고전 문헌 또는 개인 창작
지역별 제주 '입춘굿' 특수 문구
함경도 흙소 기원문
지역 축제 슬로건 지역 특색 반영
  • 제작 방식: 붉은색 한지에 먹글씨로 작성하며, 크기는 가로 약 15cm, 세로 약 70cm로 만듭니다.
  • 현대적 응용: 한글로 간단한 덕담을 적거나 디자인 스티커를 활용하는 등 창의적인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 특별한 경우: 상중인 가정에서는 흰 종이에 검은 글씨로 '상중'이라 적어 붙입니다.

2025년 입춘대길 붙이는 시간

2025년 입춘은 2월 3일 오후 11시 10분입니다. 전통적으로는 이 절입 시각에 맞춰 입춘첩을 붙이는 것이 가장 좋다고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현대에는 당일 아침이나 저녁 등 편리한 시간에 붙이는 경우도 많습니다.

 

입춘 시간과 관련해서 일부 오후10시 49분으로도 언급 되지만, 한국천문연구원 기준 11시 10분이 정확합니다.

 

더 다양한 우주와 천문정보, 달력 정보는 아래 한국천문연구원의 '천문우주지식정보' 사이트에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천문우주지식정보 바로가기

 

천문우주지식정보 바로가기

 

입춘첩 붙이는 방법

구분 전통 방식 현대 방식
시각 절입 시각(23:10)에 맞춰 붙임 당일 중 편리한 시간(예: 아침 7시)에 붙임
장소 대문 양측, 문설주, 기둥 현관문, 집안 벽, 가구 등
재료 붉은색 한지에 먹글씨 컬러 종이·아크릴판·디자인 스티커 활용
  • 떼는 시기: 다음 해 입춘까지 그대로 두고 새해에는 새롭게 덧붙이는 것이 관례입니다. 다만 비·눈으로 훼손될 경우 우수(雨水) 전날인 2월 18일에 떼기도 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재해석된 입춘

오늘날에는 전통적인 의례보다 간소화된 방식으로 입춘을 기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디지털 시대에는 SNS를 통해 #입춘첩챌린지 같은 해시태그로 창작 글귀를 공유하거나 디자인된 입춘첩 이미지를 나누는 등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현대적 입춘맞이 추천 활동

  1. 가족과 함께 DIY 입춘첩 만들기
    •   한지 대신 아크릴 판이나 자수를 활용해 인테리어 소품으로 제작.
  2. 봄 기운 담은 식탁 차리기
    •   쑥떡이나 봄나물 요리를 준비해 계절의 변화를 느껴보세요.
  3. 지역 문화재 탐방
    •   서울 남산골한옥마을이나 전주 한옥마을에서 열리는 입춘 행사를 체험해보세요.
    •   서울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입춘첩 선착순 배포 행사가 있습니다. (2월 3일 까지)

서울 국립민속박물관은 아래와 같이 입춘첩 나누기 및 붙이기 행사가 있으니 방문 및 참가 해보시는것도 좋겠습니다.

 

 

2025 입춘 행사 안내(국립민속박물관) 바로가기

 

2025 입춘 행사 안내(국립민속박물관) 바로가기

 

 

2025 입춘 행사 안내(국립민속박물관) 바로가기

 

 


맺음말: 봄의 시작을 함께하다

입춘과 입춘첩은 단순히 계절의 변화를 알리는 것을 넘어 가족의 안녕과 복을 기원하는 소중한 전통입니다. 올해는 가족들과 함께 직접 글귀를 고민하고 만들어보면서 특별한 추억을 쌓아보세요.

 

전통적인 형식뿐만 아니라 현대적인 방식으로 재해석하여 나만의 개성 있는 입춘첩을 만들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025년 봄의 첫 문턱에서 희망과 복된 에너지를 나누며 따뜻한 계절을 맞이하시길 바랍니다!


 

 

#입춘 #24절기 #한국전통 #입춘대길 #세시풍속 #봄시작 #전통문화 #농사점복 #계절음식 #가족행사

반응형